'여러 가지 일차부등식의 활용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핵심 개념

  • 여러 가지 일차부등식의 활용은 주어진 상황에서 조건을 부등식으로 나타내어 문제를 푸는 방법이야.
    ax+b>0ax + b > 0와 같은 모양으로, 미지수 xx에 대해 어떤 범위를 찾는 거야.
  1. 수에 대한 문제
    차가 aa인 두 정수: 두 정수를 xxx+ax+a로 나타내고, 부등식을 세운다.
    연속하는 세 정수: 세 정수를 x,x+1,x+2x, x+1, x+2 또는 x1,x,x+1x-1, x, x+1 로 나타낸다.
    연속하는 세 짝수 또는 홀수: x,x+2,x+4x, x+2, x+4로 나타낸다.

  2. 거리, 속력, 시간에 대한 문제

  • 거리, 속력, 시간에 대한 문제는 거리=속력×\times시간 공식을 이용해 부등식을 세우는 거야.

  • 공식을 상황에 따라 속력=거리시간속력=\dfrac{거리}{시간}, 시간=거리속력시간=\dfrac{거리}{속력} 으로 사용하면 돼.

  1. 가격과 비용 문제
  • 가격과 비용 문제에서는 가격과 수량을 곱해 총비용을 구하고, 제한 조건을 부등식으로 표현해.
    예를 들어 주어진 금액으로 물건을 xx개 산다고 하면, 가격 ×x\times x \leq 금액 을 사용하면 돼.
  1. 소금물의 농도에 대한 문제
  • (소금물의 농도)=(소금의 양)(소금물의 양)×100  (%)\text{(소금물의 농도)} = \dfrac{\text{(소금의 양)}}{\text{(소금물의 양)}} \times 100\;(\%)

  • (소금의 양)=(소금물의 농도)100×(소금물의 양)\text{(소금의 양)} = \dfrac{\text{(소금물의 농도)}}{100} \times \text{(소금물의 양)}

  • 예를 들어
    소금물의 농도가 a%a\% 이하이면
    (소금의 양)(소금물의 양)×100a,(소금의 양)a100×(소금물의 양)\dfrac{\text{(소금의 양)}}{\text{(소금물의 양)}} \times 100 \le a ,\quad \text{(소금의 양)} \le \dfrac{a}{100} \times \text{(소금물의 양)}

이렇게 일상 생활에서 만나는 다양한 문제 상황을 일차부등식을 활용하여 해결 할 수 있지.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면 이해가 될 거야.


2️⃣ 개념 더 알아보기

  • 거리, 속력, 시간에 대한 문제를 풀 때, 각각의 단위가 다른 경우 단위를 통일하여 부등식을 세워야 한다는 것 꼭 기억해!
    1km=1000m1\text{km}=1000\text{m}
    11시간=60=60분, 11=160=\dfrac{1}{60}시간

3️⃣ 예제 살펴보기

  • 주어진 상황에서 부등식을 세우는 연습을 해보자.
  1. 수에 대한 문제
    연속하는 세 정수의 합이 4545보다 크다고 할 때, 정수를 x,x+1,x+2x, x+1, x+2라고 하면
    x+(x+1)+(x+2)>45x + (x+1) + (x+2) > 45
    부등식을 세워 xx의 범위를 구할 수 있어.

  2. 거리, 속력, 시간 문제
    철수네 집에서 할머니네 집까지의 거리는 90 km90\ \text{km}이다. 철수는 차를 타고 출발하여 출발한 후 22시간 이내에 할머니네 집에 도착해야 한다.
    이때, 철수가 목적지에 제시간에 도착하려면 최소 얼마의 속력으로 가야 하는지 구하여라.

  • 시간=거리속력시간=\dfrac{거리}{속력}이고, 철수의 속력을 x kmx\ \text{km}로 두면, 290x2 \geq \dfrac{90}{x}
    이와 같이 부등식을 세울 수 있어.
  1. 가격과 비용 문제
    바나나 한 개에 300300원이고, 5,0005,000원 이하로 바나나를 산다면 바나나를 몇 개 살 수 있을까?
    바나나를 xx개 산다면,
    300x5000300x \leq 5000
    로 부등식을 세울 수 있어.

  2. 소금물의 농도에 대한 문제
    33%의 소금물 200g200\,\text{g}에서 물을 증발시켜 55% 이상의 소금물을 만들려고 할 때, 부등식을 세워 최소 몇 g\text{g}의 물을 증발시켜야 하는지 구해 보자.
    물을 xgx\,\text{g} 증발시킨다고 하면 소금물에 들어 있는 소금의 양은
    3100×200(g)\frac{3}{100} \times 200\,(\text{g})
    이고, 물을 증발시킨 후의 소금물의 농도가 5%5\% 이상이어야 하므로
    3100×2005100×(200x)\frac{3}{100} \times 200 \geq \frac{5}{100} \times (200 - x)
    60010005xx80600 \geq 1000 - 5x \quad \therefore \quad x \geq 80

따라서 최소 80g80\,\text{g}의 물을 증발시켜야 해.


두 정수가 주어졌을 때, 두 수의 차가 4 이상이 되도록 하는 작은 수의 조건은 무엇일까?
속력과 시간이 변할 때, 최대 이동 거리를 일차부등식으로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?
예금액이 목표액 이상이 되려면 기간은 최소 몇 년이어야 할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여러 가지 일차부등식의 활용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두 정수가 주어졌을 때, 두 수의 차가 4 이상이 되도록 하는 작은 수의 조건은 무엇일까?

  • 속력과 시간이 변할 때, 최대 이동 거리를 일차부등식으로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?

  • 예금액이 목표액 이상이 되려면 기간은 최소 몇 년이어야 할까?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일차부등식의 활용 - 일차부등식의 활용(정가, 원가)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일차부등식의 활용 - 일차부등식의 활용(수에 관한 문제 )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일차부등식의 활용 - 일차부등식의 활용(평균)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일차부등식의 활용 - 일차부등식의 활용(농도, 두 소금물 섞기)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일차부등식의 활용 - 일차부등식의 활용(도형)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일차부등식의 활용 - 일차부등식의 활용(예금액)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일차부등식의 활용 - 일차부등식의 활용(속력, 같은 거리를 왕복하는 경우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