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복잡한 일차부등식의 풀이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사전 지식
복잡한 일차부등식을 잘 풀기 위해서는 먼저 아래 개념을 알아야 해!

  • 일차부등식: 일차부등식은 부등식의 한 종류로, 부등식의 우변에 있는 모든 항을 좌변으로 이항하여 정리했을 때, 좌변이 일차식이 되고 그 식이 00과 부등호로 연결된 형태를 말해.
    즉,
    (일차식)>0,(일차식)<0,(일차식)0,(일차식)0(일차식) > 0, \quad (일차식) < 0, \quad (일차식) \geq 0, \quad (일차식) \leq 0 와 같은 형태야..

  • 곱셈과 나눗셈에서 부등호 방향 주의: 부등식 양변을 음수로 곱하거나 나누면 부등호 방향이 바뀌어!


2️⃣ 핵심 개념

  • 복잡한 일차부등식이란?
    일차부등식 중에서 식에 괄호가 있거나, 계수가 소수 또는 분수인 부등식을 말해. 이런 부등식은 기본적인 일차부등식 풀이 방법에 조금 더 신경 써야 해.

  • 1. 괄호가 있는 일차부등식
    괄호가 있으면 먼저 괄호를 풀어야 해. 괄호 앞에 숫자나 문자가 곱해져 있으면 분배법칙을 사용해서 괄호 안의 각 항에 곱해줘야 해.
    예: 3(x2)>63(x - 2) > 6

  • 2. 계수가 소수인 일차부등식
    계수가 소수일 때도 똑같이 양변을 같은 수로 나누거나 곱해서 풀 수 있어. 소수는 분수로 바꿔서 계산해도 좋아.
    예: 0.5x+2<4-0.5x + 2 < 4

  • 3. 계수가 분수인 일차부등식
    계수가 분수일 때는 분모를 없애기 위해 양변에 분모의 최소공배수를 곱하는 방법이 좋아. 부등호 방향에 주의하면서 계산해야 해.
    예: 23x116\dfrac{2}{3}x - 1 \geq \dfrac{1}{6}

3️⃣ 예제 및 적용

  • 괄호가 있는 일차부등식
    :3(x2)>6식 : 3(x - 2) > 6 괄호를 먼저 풀어줘. 3x6>6\Rightarrow \quad 3x - 6 > 6 여기서부터는 일차부등식의 풀이와 똑같이 하면 돼. 미지수를 좌변으로, 상수를 우변으로 옮겨줘.\\ 3x>6+63x>12\Rightarrow \quad 3x >6+ 6 \quad \Rightarrow \quad 3x>12 이제 xx의 계수인 44만큼 양변을 나눠주면 돼. 계수가 양수이므로, 부등호의 방향은 변하지 않고 유지돼. x>4\Rightarrow \quad x>4 x>4\therefore x>4

  • 계수가 소수인 일차부등식
    :0.5x+2<4식 : -0.5x + 2 < 4 소수를 없애기 위해 양 변에 1010을 곱하자. 5x+20<40\Rightarrow \quad -5x + 20 < 40 미지수를 좌변으로, 상수를 우변으로 옮겨줘. 5x<40205x<20\Rightarrow \quad -5x < 40-20 \quad \Rightarrow \quad -5x<20 이제 양 변을 xx의 계수만큼 나눠줄거야. xx의 계수가 5-5로 음수이므로, 부등호의 방향은 변하게 돼. x>4\Rightarrow \quad x > -4 x>4\therefore x>-4

  • 계수가 분수인 일차부등식
    :23x116식 : \dfrac{2}{3}x - 1 \geq \dfrac{1}{6} 계수가 분수일 때는 분모를 없애기 위해 양변에 분모의 최소공배수를 곱해주면 돼. 위 식과 같은 경우에는 양변에 66을 곱해주면 되지. 이때도 곱해주는 수가 음수이면 부등호의 방향을 바꿔야 해. 지금은 양수이니까 부등호의 방향을 그대로 유지해주자. 4x614x-6 \geq 1 미지수를 좌변으로, 상수를 우변으로 옮겨줘. 4x<1+64x<7\Rightarrow \quad 4x < 1+6 \quad \Rightarrow \quad 4x<7 마찬가지로 양변에 xx의 계수만큼 나눠주면 돼. xx의 계수가 양수인 44이므로 부드호의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면 돼. x<74\Rightarrow \quad x < \dfrac{7}{4} x<74\therefore x < \dfrac{7}{4}

4️⃣ 개념 정리

  • 복잡한 일차부등식은 기본 일차부등식 풀이 방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해!
  • 괄호가 있으면 분배법칙을 꼭 사용하고, 괄호를 먼저 풀자!
  • 계수가 소수나 분수면 분수로 바꾸거나, 양변에 적절한 수를 곱해서 분모를 없애는 것이 좋아!
  • 부등식에서 양변을 음수로 곱하거나 나눌 때는 부등호 방향을 반드시 바꿔야 한다는 것을 절대 잊지 말자!
  • 실생활 문제로 생각하면 이해가 더 쉬워져! 문제를 식으로 바꾸는 연습을 많이 하자.

공부하다가 헷갈리면 언제든지 물어봐! 😊

복잡한 일차부등식에서 부등호 방향이 바뀌는 이유는 뭘까?
마트에서 할인 행사를 할 때 복잡한 일차부등식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?
계수가 분수인 부등식을 풀 때 분모를 없애는 방법은 왜 중요한가요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복잡한 일차부등식의 풀이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복잡한 일차부등식에서 부등호 방향이 바뀌는 이유는 뭘까?

  • 마트에서 할인 행사를 할 때 복잡한 일차부등식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?

  • 계수가 분수인 부등식을 풀 때 분모를 없애는 방법은 왜 중요한가요?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일차부등식 - 괄호가 있는 일차부등식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일차부등식 - 계수가 소수인 일차부등식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일차부등식 - 계수가 분수인 일차부등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