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일차부등식의 풀이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핵심 개념

  • 일차부등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풀 수 있어.
  1. 미지수 xx를 포함하는 항은 좌변으로, 상수항은 우변으로 이항한다.

  2. 양변을 정리하여 ax>b,  ax<b,  axb,  axb  (a0)ax>b,\; ax<b,\; ax\geq b,\;ax\leq b\; (a\neq0)꼴로 만든다.

  3. 양변을 xx의 계수 aa로 나눈다. 이때 aa가 음수이면 부등호의 방향이 바뀐다,

  • 부등식 2x3>52x-3>5의 해를 구해 보자.
    2x3>52x-3>5 [3-3을 이항하면]
    2x>5+32x>5+3 [정리하면]
    2x>82x>8 [양변을 22로 나누면]
    x>4x>4
    이 돼.
    이렇게 일차부등식을 풀 수 있어!

2️⃣ 예제 살펴보기

  • 예제 1
    4x7<94x-7<9 [77을 우변으로 이항하면]
    4x<9+74x<9+7 [정리하면]
    4x<164x<16 [양변을 44로 나누기]
    x<4\therefore x<4

  • 예제 2
    3x+52-3x+5\geq2 [55를 우변으로 이항하면]
    3x25-3x \geq2-5 [정리하면]
    3x3-3x \geq-3 [양변을 3-3으로 나누기]
    x1\therefore x\leq1 \quad
    (3-3은 음수이므로 부등호 방향을 바꿔야 해.)


일차부등식에서 계수가 음수일 때 부등호 방향이 바뀌는 이유는 무엇일까?
일상생활에서 일차부등식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?
미지수를 한쪽으로 모으는 과정에서 부호가 바뀌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일차부등식의 풀이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일차부등식에서 계수가 음수일 때 부등호 방향이 바뀌는 이유는 무엇일까?

  • 일상생활에서 일차부등식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예는 무엇이 있을까?

  • 미지수를 한쪽으로 모으는 과정에서 부호가 바뀌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까?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일차부등식 - 일차부등식의 풀이(부등식의 성질 이용)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일차부등식 - 부등식의 해가 주어졌을 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