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차부등식
'일차부등식'의 개념을 설명해줘
1️⃣ 핵심 개념
이항이란 부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부등식의 한 변에 있는 항의 부호를 바꾸어 다른 변으로 옮기는 것을 말해.
일차부등식은 부등식의 모든 항을 좌변으로 이항하여 정리하였을 때,
중 어느 하나의 꼴로 나타나는 부등식이야.
2️⃣ 개념 더 알아보기
- 이항 할 때는 부등호의 방향은 바뀌지 않아.
- 하지만 부등식을 풀 때 음수를 곱하거나 나누면 부등호 방향이 바뀌는데, 이 부분은 일차부등식을 풀 때 아주 중요한 규칙이야.
- 우변을 좌변으로 이항하여 과 같은 형태로 만들면, 일차부등식인지 아닌지 찾기 쉬워져.
예를 들어,
로 일차부등식인 것을 알 수 있어.
3️⃣ 예제 살펴보기
예제를 통해 일차부등식인지 일차부등식이 아닌지 알아보자.
[우변을 좌변으로 이항]
[정리하면]
좌변이 일차식 이고 부등호가 있으니, 이 식은 일차부등식이야.[우변을 좌변으로 이항]
[정리하면]
문자가 사라지고 이 되어버렸지? 좌변이 일차식이 아니기 때문에 부등식은 맞지만, 일차부등식이 아니야.
일차부등식에서 부등호 방향이 바뀌는 경우는 언제일까?
일차부등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실생활 상황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?
문자가 사라진 부등식의 해가 항상 모든 실수일까? 왜 그렇게 생각해?
이어서 질문하기
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'일차부등식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일차부등식에서 부등호 방향이 바뀌는 경우는 언제일까?
일차부등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실생활 상황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?
문자가 사라진 부등식의 해가 항상 모든 실수일까? 왜 그렇게 생각해?
[EBS 수학의 답] 일차부등식 - 일차부등식의 뜻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