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단항식과 다항식의 곱셈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핵심 개념

  • (단항식)×\times (다항식)의 계산은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단항식을 다항식의 각 항에 차례대로 곱해서 계산을 해.

    예)

2x(x+3y)=2x×x+2x×3y=2x2+6xy2x(x+3y) =2x\times x+2x\times3y =2x^{2}+6xy

  • 전개: 단항식과 다항식의 곱셈을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괄호를 없애 하나의 다항식으로 나타내는 것을 말해.
    2x(x+3y)=2x2+6xy2x(x+3y)=2x^{2}+6xy

2️⃣ 개념 더 알아보기

  • 분배법칙
    a(b+c)=ab+ac(a+b)c=ac+bca(b+c)=ab+ac \\ (a+b)c=ac+bc

3️⃣ 예제 살펴보기

  • 예를 들어 단항식 3x3x와 다항식 2x+52x + 5를 곱해보자.
    3x(2x+5)=3x×2x+3x×5=6x2+15x\begin{aligned} 3x(2x + 5) &=3x \times 2x+3x \times5 \\ &= 6x^2 + 15x \end{aligned}가 돼.

  • 또 다른 예로, 단항식 2a-2a와 다항식 4a23a+14a^2 - 3a + 1을 곱하면,
    2a(4a23a+1)=2a×4a2+(2a)×(3a)+(2a)×1=8a3+6a22a\begin{aligned} -2a(4a^2 - 3a + 1) &= -2a \times 4a^2+(-2a) \times (-3a)+(-2a) \times 1 \\ &=-8a^3+6a^2 -2a \end{aligned}
    가 돼.


단항식과 다항식 곱셈에서 분배법칙이 왜 꼭 필요한 걸까?
실생활에서 단항식과 다항식 곱셈을 사용해볼 수 있는 예는 무엇일까?
단항식과 다항식 곱셈 결과에서 항을 꼭 정리해야 하는 이유는 뭘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단항식과 다항식의 곱셈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단항식과 다항식 곱셈에서 분배법칙이 왜 꼭 필요한 걸까?

  • 실생활에서 단항식과 다항식 곱셈을 사용해볼 수 있는 예는 무엇일까?

  • 단항식과 다항식 곱셈 결과에서 항을 꼭 정리해야 하는 이유는 뭘까?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다항식의 계산 - (단항식) x (다항식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