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근호를 포함한 식의 혼합 계산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사전 지식

  • 근호가 있는 식의 곱셈
    a>0a>0, b>0b>0 일 때, a×b=ab\sqrt{a} \times \sqrt{b} = \sqrt{ab}
    가 성립하는 걸 말해. 예를 들어, 2×3=6\sqrt{2} \times \sqrt{3} = \sqrt{6}이야.
  • 근호가 있는 식의 나눗셈
    a>0a>0, b>0b>0 일 때, ab=ab\dfrac{\sqrt{a}}{\sqrt{b}} = \sqrt{\dfrac{a}{b}}
    가 성립하는 걸 말해. 예를 들어, 23=23\dfrac{\sqrt{2}}{\sqrt{3}} = \sqrt{\dfrac{2}{3}}야.
  • 근호가 있는 식의 덧셈과 뺄셈
    근호가 있는 수를 문자로 생각하여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에서 동류항끼리 계산 하던 것과 똑같이 계산하는 걸 말해. 예를 들어, 7y2y=(72)y=5y7y - 2y = (7 - 2)y = 5y야.

2️⃣ 핵심 개념

근호를 포함한 식의 혼합 계산은 여러 가지 연산이 섞여 있을 때, 다음 규칙을 따라 계산하는 거야.

  • 괄호가 있으면 분배법칙을 이용해서 풀기
    예를 들어, 2(3+4)=2×3+2×42(\sqrt{3} + 4) = 2 \times \sqrt{3} + 2 \times 4
  • 식을 간단하게 하기
    예를 들어, 25=5\sqrt{25} = 5, 또는 18=9×2=32\sqrt{18} = \sqrt{9 \times 2} = 3\sqrt{2}
  •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계산한 후 덧셈과 뺄셈 하기
    예를 들어, 32+22×4=32+82=1123\sqrt{2} + 2\sqrt{2} \times 4 = 3\sqrt{2} + 8\sqrt{2} = 11\sqrt{2}
  • 유리화: 분모에 근호가 있을 때, 분모에서 무리수를 유리수로 바꾸는 과정
    예를 들어, 32=32×22=322\dfrac{3}{\sqrt{2}} = \dfrac{3}{\sqrt{2}} \times \dfrac{\sqrt{2}}{\sqrt{2}} = \dfrac{3\sqrt{2}}{2}

3️⃣ 예제 및 적용

예를 들어,
2(12+3)3(650)=24+3218+150\sqrt{2}(\sqrt{12}+3) - \sqrt{3}(\sqrt{6} - \sqrt{50}) = \sqrt{24} + 3\sqrt{2} - \sqrt{18} + \sqrt{150}
=26+3232+56\hspace{4.81cm} = 2\sqrt{6} + 3\sqrt{2} - 3\sqrt{2} + 5\sqrt{6}
=76\hspace{4.81cm} = 7\sqrt{6}

이런 계산은 실제로 건축, 과학, 공학 등에서 길이, 면적 계산에 많이 쓰여. 예를 들어, 대각선 길이를 구할 때 제곱근이 나오고, 그 값을 계산하는데 이용돼.


4️⃣ 개념 정리

  • 근호를 포함한 식을 계산할 때는 분배법칙을 활용해 괄호를 풀고,
  • 근호 안의 제곱인 인수를 빼내어 식을 간단히 하고,
  •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계산한 뒤 덧셈과 뺄셈을 한다는 점이 중요해.
  • 계산한 값의 분모에 근호가 있으면 유리화를 통해 분모를 유리수로 고쳐주어야 함을 기억하자.

학습 팁!
계산 순서를 꼭 지키고, 루트 안의 수를 항상 소인수분해를 통해 식을 간단히 하는 연습을 하자. 그러면 계산이 훨씬 쉬워져! 😊


근호를 포함한 식에서 곱셈과 덧셈을 동시에 계산할 때 주의할 점은?
일상생활에서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이 필요한 예시는 무엇일까?
분모에 근호가 있을 때 왜 유리화를 해야 할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근호를 포함한 식의 혼합 계산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근호를 포함한 식에서 곱셈과 덧셈을 동시에 계산할 때 주의할 점은?

  • 일상생활에서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이 필요한 예시는 무엇일까?

  • 분모에 근호가 있을 때 왜 유리화를 해야 할까?

  • favicon실수와 무리수15 근호를 이용한 식의 분배법칙과 혼합 계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