근호를 포함한 식의 혼합 계산
'근호를 포함한 식의 혼합 계산'의 개념을 설명해줘
1️⃣ 사전 지식
- 근호가 있는 식의 곱셈은
, 일 때,
가 성립하는 걸 말해. 예를 들어, 이야. - 근호가 있는 식의 나눗셈은
, 일 때,
가 성립하는 걸 말해. 예를 들어, 야. - 근호가 있는 식의 덧셈과 뺄셈은
근호가 있는 수를 문자로 생각하여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에서 동류항끼리 계산 하던 것과 똑같이 계산하는 걸 말해. 예를 들어, 야.
2️⃣ 핵심 개념
근호를 포함한 식의 혼합 계산은 여러 가지 연산이 섞여 있을 때, 다음 규칙을 따라 계산하는 거야.
- 괄호가 있으면 분배법칙을 이용해서 풀기
예를 들어, - 식을 간단하게 하기
예를 들어, , 또는 -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계산한 후 덧셈과 뺄셈 하기
예를 들어, - 유리화: 분모에 근호가 있을 때, 분모에서 무리수를 유리수로 바꾸는 과정
예를 들어,
3️⃣ 예제 및 적용
예를 들어,
이런 계산은 실제로 건축, 과학, 공학 등에서 길이, 면적 계산에 많이 쓰여. 예를 들어, 대각선 길이를 구할 때 제곱근이 나오고, 그 값을 계산하는데 이용돼.
4️⃣ 개념 정리
- 근호를 포함한 식을 계산할 때는 분배법칙을 활용해 괄호를 풀고,
- 근호 안의 제곱인 인수를 빼내어 식을 간단히 하고,
-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계산한 뒤 덧셈과 뺄셈을 한다는 점이 중요해.
- 계산한 값의 분모에 근호가 있으면 유리화를 통해 분모를 유리수로 고쳐주어야 함을 기억하자.
학습 팁!
계산 순서를 꼭 지키고, 루트 안의 수를 항상 소인수분해를 통해 식을 간단히 하는 연습을 하자. 그러면 계산이 훨씬 쉬워져! 😊
근호를 포함한 식에서 곱셈과 덧셈을 동시에 계산할 때 주의할 점은?
일상생활에서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이 필요한 예시는 무엇일까?
분모에 근호가 있을 때 왜 유리화를 해야 할까?
이어서 질문하기
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'근호를 포함한 식의 혼합 계산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근호를 포함한 식에서 곱셈과 덧셈을 동시에 계산할 때 주의할 점은?
일상생활에서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이 필요한 예시는 무엇일까?
분모에 근호가 있을 때 왜 유리화를 해야 할까?
실수와 무리수15 근호를 이용한 식의 분배법칙과 혼합 계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