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곱근표에 없는 제곱근의 값
'제곱근표에 없는 제곱근의 값'의 개념을 설명해줘
1️⃣ 사전 지식
- 제곱근표: 특정 수의 제곱근 값을 미리 계산해서 정리한 표야.
예를 들어, 제곱근표를 이용하여 임을 알 수 있어. - 근호가 있는 식의 변형: , 일 때, 가 성립하는 것으로 근호 안에 제곱인 인수가 있으면 근호 밖으로 꺼낼 수 있다는 뜻이야.
예를 들어, 을 만족해.
2️⃣ 핵심 개념
- 일반적으로 제곱근표는 근호 안의 수가 부터 까지의 수에 대해서만 그 근사값이 정리되어 있어.
- 왜냐하면 그 외의 값들은 근호가 있는 식의 변형을 활용하여 그 근사값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야.
- 예를 들어,
또 다른 예로,
와 같이 의 거듭제곱을 활용하여 식을 변형하여 제곱근표에는 없는 제곱근의 값을 구할 수 있어.
3️⃣ 예제 및 적용
- 실생활 예제: 건물의 대각선 길이를 구할 때, 가로 , 세로 인 직사각형의 대각선 길이는
로 구할 수 있어. - 또, 컴퓨터 그래픽이나 공학에서 정확한 제곱근값 대신 근삿값을 사용해 계산 속도를 높이기도 해.
4️⃣ 개념 정리
- 일반적으로 제곱근표는 근호 안의 수가 부터 까지의 수에 대해서만 그 값이 정리되어 있어.
- 제곱근표에 없는 제곱근의 값은 의 거듭제곱과 근호가 있는 식의 변형을 활용하여 구할 수 있어.
어렵다면 근호가 있는 식의 변형하는 방법을 충분히 학습하고 필요하면 계산기를 활용해서 익숙해지도록 해봐! 😊
보다 큰 수 또는 과 사이의 수의 제곱근은 어떻게 근사값을 구할 수 있을까?
과 사이 수의 제곱근이 원래 수보다 큰 이유는 무엇일까?
근삿값을 이용해 제곱근을 구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?
이어서 질문하기
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'제곱근표에 없는 제곱근의 값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보다 큰 수 또는 과 사이의 수의 제곱근은 어떻게 근사값을 구할 수 있을까?
과 사이 수의 제곱근이 원래 수보다 큰 이유는 무엇일까?
근삿값을 이용해 제곱근을 구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?
[EBS 수학의 답] 제곱근의 곱셈과 나눗셈 - 제곱근표에 없는 제곱근의 값 구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