근호를 포함한 식의 곱셈과 나눗셈

'근호를 포함한 식의 곱셈과 나눗셈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사전 지식

근호를 포함한 식의 곱셈과 나눗셈을 이해하려면, 먼저 제곱근의 뜻과 성질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해.

  • 제곱근은 어떤 수를 제곱했을 때 나온 결과를 다시 원래 수로 되돌리는 수로 a>0a > 0의 제곱근은 x2=ax^2 = a의 해 ±a\pm\sqrt{a}를 의미해.
  • 제곱근의 성질은 다음 두 가지를 이야기해.
  • 제곱근을 제곱하면 원래 수가 나온다.
    (a)2=a(\sqrt{a})^2 = a, (a)2=a(-\sqrt{a})^2 = a (a>0)(a>0)
  • 어떤 수의 제곱이 되는 수의 제곱근은 어떤 수의 절댓값이다.
    a2=a\sqrt{a^2} = a, (a)2=a\sqrt{(-a)^2} = a (a>0)(a>0)
    즉, a2=a\sqrt{a^2} = |a| (a>0)(a > 0)
  • 특히, 이번 개념에서는 첫 번째 성질을 기억해줘.

2️⃣ 핵심 개념

  • 먼저,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곱셈에 대해서 알아볼게.
    (2×3)2=(2×3)×(2×3)(\sqrt{2} \times \sqrt{3})^2 = (\sqrt{2} \times \sqrt{3}) \times (\sqrt{2} \times \sqrt{3})
    \hspace{1.76cm} =(2×2)×(3×3)= (\sqrt{2} \times \sqrt{2}) \times (\sqrt{3} \times \sqrt{3})
    (\hspace{1.76cm} (\because 곱셈의 교환/결합 법칙)
    \hspace{1.76cm} =(2)2×(3)2= (\sqrt{2})^2 \times (\sqrt{3})^2
    \hspace{1.76cm} =2×3= 2 \times 3 (\because 제곱근의 성질)
    이때, x=2×3x = \sqrt{2} \times \sqrt{3}라 하면
    x2=2×3x^2 = 2 \times 3 이므로 xx2×32 \times 3의 양의 제곱근이야.
    따라서 x=2×3x = \sqrt{2 \times 3} 즉, 2×3=2×3\sqrt{2} \times \sqrt{3} = \sqrt{2 \times 3} 임을 알 수 있어.

  • 이처럼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곱셈은 일반적으로
    a>0,b>0,a×b=aba > 0, \hspace{0.1cm} b > 0 \hspace{0.1cm} 일 \hspace{0.1cm} 때, \hspace{0.1cm} \sqrt{a} \times \sqrt{b} = \sqrt{ab} 가 성립해.

  • 예를 들어, 23×3=23×3\sqrt{\dfrac{2}{3}} \times \sqrt{3} = \sqrt{\dfrac{2}{3} \times 3}
    \hspace{2.9cm} =2= \sqrt{2} \hspace{1cm}로 계산할 수 있어.

  • 이번에는 근호를 포함한 식의 나눗셈에 대해 알아볼거야.
    (23)2=23×23(\dfrac{\sqrt{2}}{\sqrt{3}})^2 = \dfrac{\sqrt{2}}{\sqrt{3}} \times \dfrac{\sqrt{2}}{\sqrt{3}}
    =2×23×3\hspace{1.08cm} = \dfrac{\sqrt{2} \times \sqrt{2}}{\sqrt{3} \times \sqrt{3}}
    =(2)2(3)2\hspace{1.08cm} = \dfrac{(\sqrt{2})^2}{(\sqrt{3})^2}
    =23\hspace{1.08cm} = \dfrac{2}{3} (\because 제곱근의 성질)
    이때, x=23x = \dfrac{\sqrt{2}}{\sqrt{3}}라 하면
    x2=23x^2 = \dfrac{2}{3} 이므로 xx23\dfrac{2}{3}의 양의 제곱근이야.
    따라서 x=23x = \sqrt{\dfrac{2}{3}} 즉, 23=23\dfrac{\sqrt{2}}{\sqrt{3}} = \sqrt{\dfrac{2}{3}} 임을 알 수 있어.

  • 이처럼 근호를 포함한 식의 나눗셈은 일반적으로
    a>0,b>0,ab=aba > 0, \hspace{0.1cm} b > 0 \hspace{0.1cm} 일 \hspace{0.1cm} 때, \hspace{0.1cm} \dfrac{\sqrt{a}}{\sqrt{b}} = \sqrt{\frac{a}{b}} 가 성립해.

  • 예를 들어, 6÷3=63\sqrt{6} \div \sqrt{3} = \dfrac{\sqrt{6}}{\sqrt{3}}
    \hspace{2.8cm} =63= \sqrt{\dfrac{6}{3}}
    \hspace{2.8cm} =2= \sqrt{2} \hspace{1cm}로 계산할 수 있어.

  • 또, 위와 같은 나눗셈 문제를 곱셈을 이용해서 해결 할 수도 있어.
    6÷3=6×13\sqrt{6} \div \sqrt{3} = \sqrt{6} \times \dfrac{1}{\sqrt{3}}
    \hspace{1.35cm} =6×13= \sqrt{6} \times \dfrac{\sqrt{1}}{\sqrt{3}}
    \hspace{1.35cm} =6×13= \sqrt{6} \times \sqrt{\dfrac{1}{3}}
    \hspace{1.35cm} =6×13= \sqrt{6 \times \dfrac{1}{3}}
    \hspace{1.35cm} =2= \sqrt{2}


3️⃣ 예제 및 적용

  • 예를 들어, 가로의 길이가 5 m\sqrt{5}\ \text{m},세로의 길이가 7 m\sqrt{7}\ \text{m}인 직사각형 형태의 땅을 사려고 땅의 넓이를 구할 때, 근호가 포함된 식의 곱셈의 개념을 알고 있다면 쉽게 구할 수 있지!

4️⃣ 개념 정리

  •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곱셈은 근호 안의 수를 곱하여 구할 수 있어.
    즉, a>0a>0, b>0b>0 일 때, a×b=ab\sqrt{a} \times \sqrt{b} = \sqrt{ab}
  • 근호를 포함한 식의 나눗셈은 근호 안의 수를 나누어 구할 수 있어.
    즉, a>0a>0, b>0b>0 일 때, ab=ab\dfrac{\sqrt{a}}{\sqrt{b}} = \sqrt{\dfrac{a}{b}}
  • 이런 성질들은 문제를 더 쉽게 풀 수 있게 해 주니까 꼭 잘 익혀 두자! 😊

근호를 포함한 식을 곱할 때 근호 안의 수를 왜 곱하는 걸까?
근호를 포함한 식의 나눗셈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일 수 있을까?
근호가 포함된 식끼리 곱하거나 나눌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근호를 포함한 식의 곱셈과 나눗셈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근호를 포함한 식을 곱할 때 근호 안의 수를 왜 곱하는 걸까?

  • 근호를 포함한 식의 나눗셈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일 수 있을까?

  • 근호가 포함된 식끼리 곱하거나 나눌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?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제곱근의 곱셈과 나눗셈 - 제곱근의 곱셈과 나눗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