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두 실수의 대소관계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핵심 개념

  • 수직선 위의 원점 00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있는 수를 양의 실수, 왼쪽에 있는 수를 음의 실수라고 한다.
  • 수직선 위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수가 커지고 왼쪽으로 갈수록 수가 작아진다.
    image.png
  • 두 실수의 대소관계는 유리수와 마찬가지로 다음이 성립해.
    양수는 00보다 크고 음수는 00보다 작다.
    양수는 음수보다 크다.
    두 양수 사이에서는 절댓값이 큰 수가 더 크다.
    두 음수 사이에서는 절댓값이 작은 수가 더 크다.

2️⃣ 예제 살펴보기

  • 다음 식의 \Box 안에 실수의 크기를 비교하여 << 또는 >>를 써 넣어보자.
    결과
    (1) 23\sqrt{2} \, \Box \, -\sqrt{3} >>
    (2) 5+14\sqrt{5} + 1 \, \Box \, 4 <<
    (3) 132131\sqrt{13} - 2 \, \Box \, \sqrt{13} - 1 <<
    (4) 7383\sqrt{7} - 3 \, \Box \, \sqrt{8} - 3 <<
    (5) 2+103+10-\sqrt{2} + \sqrt{10} \, \Box \, -\sqrt{3} + \sqrt{10} >>

<풀이>
예제 (2)(2)를 두 가지 방법으로 풀이해보자.
(ⅰ) (5+1)4=53=59<05+1<4(\sqrt{5}+1)-4=\sqrt{5}-3=\sqrt{5}-\sqrt{9}<0 \qquad \therefore\, \sqrt{5}+1<4
(ⅱ) 5=2.\sqrt{5}=2.xxx 이므로 5+1=3.\sqrt{5} + 1=3.xxx 이다. 따라서 3.3.xxx 는 44보다 작다.
5+1<4\qquad \therefore\, \sqrt{5} + 1 < 4


두 실수 aa, bb에서 aba - b가 0일 때 두 수의 관계는 무엇일까?
제곱근을 이용해 실생활에서 두 거리의 대소를 어떻게 비교할 수 있을까?
두 실수의 대소관계를 부등식 성질로 바꾸어 설명할 수 있을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두 실수의 대소관계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두 실수 aa, bb에서 aba - b가 0일 때 두 수의 관계는 무엇일까?

  • 제곱근을 이용해 실생활에서 두 거리의 대소를 어떻게 비교할 수 있을까?

  • 두 실수의 대소관계를 부등식 성질로 바꾸어 설명할 수 있을까?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무리수와 실수 - 실수의 대소 관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