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

'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사전 지식
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 위해서는 먼저 몇 가지 개념을 알아야 해요.

  • 수직선: 수를 한 줄로 표현한 선이에요. 왼쪽으로 갈수록 작은 수, 오른쪽으로 갈수록 큰 수를 나타내죠.
  • 유리수: 분수나 정수처럼 정확히 나타낼 수 있는 수예요. 예를 들어 1/21/2, 33, 4-4 등이 있어요.
  • 무리수: 분수로 나타낼 수 없는 수예요. 예를 들어, 2\sqrt{2}, π\pi 등이 있죠.
  • 피타고라스 정리: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제곱은 두 다른 변의 제곱의 합과 같아요. 즉,
    (빗변)2=(밑변)2+(높이)2(\text{빗변})^2 = (\text{밑변})^2 + (\text{높이})^2

2️⃣ 핵심 개념
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는 숫자를 정확히 표시하기 어려운 무리수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에요.
특히,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를 이용해 무리수인 2\sqrt{2} 같은 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낼 수 있어요.

예를 들어, 길이가 11인 두 변으로 이루어진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길이는
12+12=2\sqrt{1^2 + 1^2} = \sqrt{2}
가 되죠. 이 빗변의 길이를 수직선 위에 표시하면, 무리수 2\sqrt{2}를 표현하는 거예요.

수직선 위 무리수 표현.png

이 방법은 무리수를 수직선 위에서 시각적으로 이해하고, 숫자의 크기를 비교하는 데 매우 유용해요.


3️⃣ 예제 및 적용

직각삼각형을 이용해 5\sqrt{5}를 수직선에 나타내 봅시다.

  • 먼저, 수직선 위에 0011을 표시해요.
  • 그 다음, 22의 길이만큼 수평선 위에 점을 찍고, 수평선과 수직선이 만나는 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을 그려요.
  • 빗변의 길이는 바로 5\sqrt{5}가 됩니다.
  • 이 빗변을 수직선에 옮겨서 표시하면, 무리수 5\sqrt{5}를 수직선 위에 나타낸 거예요.

이 방법은 무리수를 정확히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, 길이, 거리, 대각선 같은 실생활 문제에도 적용할 수 있어요.


4️⃣ 개념 정리

  • 무리수는 분수로 나타낼 수 없는 수로, 수직선 위에 위치를 표시하기 어렵지만,
  •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를 이용하면 무리수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요.
  • 특히, 피타고라스 정리를 활용해 2\sqrt{2} 같은 무리수를 나타내는 방법은 매우 중요해요.
  • 이런 시각적 표현은 무리수의 크기를 이해하고, 수의 위치 관계를 알기 쉽게 해 줘요.

학습 팁!
직각삼각형을 직접 그리고, 빗변의 길이를 계산하며 무리수를 수직선에 표시해 보세요. 그러면 무리수가 훨씬 친근하게 느껴질 거예요! 😊


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낼 때 다른 도형을 사용할 수 없을까?
실생활에서 무리수의 길이를 어떻게 측정하거나 표현할 수 있을까?
2\sqrt{2}, 5\sqrt{5}외에 다른 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려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낼 때 다른 도형을 사용할 수 없을까?

  • 실생활에서 무리수의 길이를 어떻게 측정하거나 표현할 수 있을까?

  • 2\sqrt{2}, 5\sqrt{5}외에 다른 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려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?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무리수와 실수 - 무리수의 수직선 표현(1)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무리수와 실수 - 무리수의 수직선 표현(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