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
'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'의 개념을 설명해줘
1️⃣ 핵심 개념
- 수직선 위에는 모든 수를 나타낼 수 있는데, 무리수도 수직선 위에 나타낼 수 있어.
-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를 이용하여 무리수를 수직선에 나타내면 돼.
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제곱은 두 변의 제곱의 합과 같다는 피타고라스의 정리 즉, 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어. - 예를 들어 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려면

한 눈금의 길이가 인 모눈종이 위에 수직선과 함께 빗변의 길이가 인 직각삼각형을 그린다. (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를 이용)
원점 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인 원을 그려 수직선과 만나는 점을 찾는다.
수직선과 만나는 두 점이 이다.
2️⃣ 예제 살펴보기
- 모눈 한 칸의 크기가 인 다음 그림에서 에 대응하는 수를 구해보자.

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는 이므로
원점 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인 원을 그린다.
따라서, 에 대응하는 수는 , 에 대응하는 수는 이다.
무리수를 수직선에 나타낼 때 직각삼각형 빗변 길이를 이용하는 이유는 뭘까?
수직선 위에 을 나타내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?
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표시하는 방법이 실생활에서 어디에 쓰일 수 있을까?
이어서 질문하기
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'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무리수를 수직선에 나타낼 때 직각삼각형 빗변 길이를 이용하는 이유는 뭘까?
수직선 위에 을 나타내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?
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표시하는 방법이 실생활에서 어디에 쓰일 수 있을까?
[EBS 수학의 답] 무리수와 실수 - 무리수의 수직선 표현(1)
[EBS 수학의 답] 무리수와 실수 - 무리수의 수직선 표현(2)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