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

'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핵심 개념

  • 수직선 위에는 모든 수를 나타낼 수 있는데, 무리수도 수직선 위에 나타낼 수 있어.
  •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를 이용하여 무리수를 수직선에 나타내면 돼.
   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제곱은 두 변의 제곱의 합과 같다는 피타고라스의 정리 즉, c2=a2+b2c^2 = a^2 + b^2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어.
  • 예를 들어 5,5-\sqrt{5},\sqrt{5}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려면
    image.png

한 눈금의 길이가 11인 모눈종이 위에 수직선과 함께 빗변의 길이가 5\sqrt{5}인 직각삼각형을 그린다. (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22+12=5\sqrt{2^2+1^2}=\sqrt{5}를 이용)
원점 00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5\sqrt{5}인 원을 그려 수직선과 만나는 점을 찾는다.
수직선과 만나는 두 점이 5,5-\sqrt{5},\sqrt{5}이다.


2️⃣ 예제 살펴보기

  • 모눈 한 칸의 크기가 11인 다음 그림에서 P,QP,Q에 대응하는 수를 구해보자.
    image.png
   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는 12+12=2\sqrt{1^2 + 1^2} = \sqrt{2} 이므로
    원점 11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2\sqrt{2}인 원을 그린다.
    따라서, PP에 대응하는 수는 1+21 + \sqrt{2}, QQ에 대응하는 수는 121 - \sqrt{2}이다.

무리수를 수직선에 나타낼 때 직각삼각형 빗변 길이를 이용하는 이유는 뭘까?
수직선 위에 3\sqrt{3}을 나타내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?
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표시하는 방법이 실생활에서 어디에 쓰일 수 있을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무리수를 수직선에 나타낼 때 직각삼각형 빗변 길이를 이용하는 이유는 뭘까?

  • 수직선 위에 3\sqrt{3}을 나타내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?

  • 무리수를 수직선 위에 표시하는 방법이 실생활에서 어디에 쓰일 수 있을까?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무리수와 실수 - 무리수의 수직선 표현(1)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무리수와 실수 - 무리수의 수직선 표현(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