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곱근표를 이용한 제곱근의 값

'제곱근표를 이용한 제곱근의 값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핵심 개념

  • 제곱근표1.001.00부터 99.999.9까지의 수의 양의 제곱근의 값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아래 셋째 자리까지 나타낸 표야.
    무리수인 제곱근을 소수 근사값으로 찾게 해주는 표인 거지.

  • 제곱근표를 보는 법은 처음 두 자리 수의 가로줄과 끝자리 수의 세로줄이 만나는 곳에 적힌 수를 읽으면 돼.
    예를 들어 아래 제곱근표에서 1.11\sqrt{1.11}의 값은 1.11.1의 가로줄과 11의 세로줄이 만나는 곳에 적힌 수인 1.0541.054라는 것을 찾을 수 있어.
    image.png

  • 제곱근표에 있는 값은 대부분 제곱근을 어림한 값이지만 등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는 것도 알아 두자.


2️⃣ 예제 살펴보기

  • 아래 제곱근표를 이용하여 다음 수의 값을 구해보자. image.pngimage.png
    결과
    (1) 7.2\sqrt{7.2} 2.6832.683
    (2) 7.34\sqrt{7.34} 2.7092.709
    (3) 7.03\sqrt{7.03} 2.6512.651
    (4) 33.6\sqrt{33.6} 5.7975.797
    (5) 34.8\sqrt{34.8} 5.8995.899

제곱근표를 사용하면 어떤 상황에서 제곱근의 근사값이 더 유용할까?
제곱근표에 없는 수의 제곱근 값은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?
일상생활에서 제곱근표를 이용한 제곱근 값이 필요한 예는 무엇일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제곱근표를 이용한 제곱근의 값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제곱근표를 사용하면 어떤 상황에서 제곱근의 근사값이 더 유용할까?

  • 제곱근표에 없는 수의 제곱근 값은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?

  • 일상생활에서 제곱근표를 이용한 제곱근 값이 필요한 예는 무엇일까?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무리수와 실수 - 제곱근표를 이용하여 제곱근의 값 구하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