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무리수와 실수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핵심 개념

  • 무리수란 유리수가 아닌 수, 즉 순환소수가 아닌 무한소수를 말해.
    예) 2=1.4142135,  π=3.141592\sqrt{2}=1.4142135\cdots,\; \pi=3.141592\cdots

  • 앞서 배운 소수를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아.
    소수{유한소수유리수무한소수  {순환소수      유리수순환소수가 아닌 무한소수      무리수\text{소수} \begin{cases} \text{유한소수} \qquad \qquad\qquad\qquad\qquad\qquad\quad\Rightarrow \text{유리수} \\ \text{무한소수} \; \begin{cases} \text{순환소수} & \;\; \Rightarrow \; \text{유리수} \\ \text{순환소수가 아닌 무한소수} & \;\; \Rightarrow \; \text{무리수} \end{cases} \end{cases}

  • 유리수와 무리수를 통틀어서 실수라 하고 실수를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아.
    실수{유리수{정수{양의 정수(자연수):1,2,3,0음의 정수:1,2,3,정수가 아닌 유리수:34,0.17,2.6,무리수(순환소수가 아닌 무한소수):2,3,π,\text{실수} \left\{ \begin{array}{l} \text{유리수} \left\{ \begin{array}{l} \text{정수} \left\{ \begin{array}{ll} \text{양의 정수(자연수)}: \quad 1,\,2,\,3,\,\dots \\ 0 & \\ \text{음의 정수}: \quad -1,\,-2,\,-3,\,\dots \end{array} \right. \\ \text{정수가 아닌 유리수}: \quad \dfrac{3}{4},\,-0.17,\,2.6,\,\dots \end{array} \right. \\ \text{무리수(순환소수가 아닌 무한소수)}: \quad \sqrt{2},\,-\sqrt{3},\,\pi,\,\dots \end{array} \right.


2️⃣ 개념 더 알아보기

  • 근호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 중 근호를 없앨 수 있는 수는 유리수임에 주의 해야 해.
    예를 들면 4=22=2\sqrt{4}=\sqrt{2^2}=24\sqrt{4}는 유리수에 해당 돼. 꼭 주의 하자.
  • 일반적으로 '수'라고 하면 '실수'를 의미해.

3️⃣ 예제 살펴보기

  • 다음 수가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 알아보자.(유리수이면'유', 무리수이면'무')
결과
(1) 11\sqrt{11}
(2) π\pi
(3) 3.2˙03˙3.\dot{2}0\dot{3}
(4) 25-\sqrt{25}
(5) 49\sqrt{\dfrac{4}{9}}
(6) 1.2323231.232323\dots

실수 중 무리수가 아닌 숫자는 어떤 특징을 가질까?
우리 주변에서 무리수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?
무리수와 유리수를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무엇일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무리수와 실수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실수 중 무리수가 아닌 숫자는 어떤 특징을 가질까?

  • 우리 주변에서 무리수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?

  • 무리수와 유리수를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무엇일까?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무리수와 실수 - 실수의 분류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무리수와 실수 - 유리수와 무리수의 구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