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리수와 순환소수의 관계
'유리수와 순환소수의 관계'의 개념을 설명해줘
1️⃣ 핵심 개념
- 정수가 아닌 유리수는 유한소수 또는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어.
- 유한소수와 순환소수는 모두 유리수야.
2️⃣ 개념 더 알아보기
- 유리수의 정의가 분수 는 정수,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수인데 유한소수와 순환소수는 둘 다 는 정수, 꼴인 분수로 표현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수야.
-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는 는 정수, 꼴인 분수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유리수가 아니야.
- 위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아.
3️⃣ 예제 살펴보기
간단히 OX예시를 보며 익혀보자. (해당 문제를 클릭하면 정답을 볼 수 있어)
모든 유한소수는 유리수이다.
정답 : O
모든 유한소수는 분수로 표현 가능하기 때문에 유리수이다.
순환소수는 유리수가 아니다.
정답 : X
순환소수는 분수로 표현 가능하기 때문에 유리수이다.
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는 유리수가 아니다.
정답 : O
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는 분수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유리수가 아니다.
유리수의 소수 표현이 순환소수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?
실생활에서 순환소수와 유리수의 관계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?
왜 모든 무한소수가 유리수가 아닐까?
이어서 질문하기
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'유리수와 순환소수의 관계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유리수의 소수 표현이 순환소수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?
실생활에서 순환소수와 유리수의 관계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?
왜 모든 무한소수가 유리수가 아닐까?
[EBS 수학의 답] 순환소수의 분수 표현 - 유리수와 소수의 관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