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(2)
'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(2)'의 개념을 설명해줘
1️⃣ 핵심 개념
- 순환소수는 의 거듭제곱을 이용하여 분수로 나타낼 수도 있지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쉽게 분수로 나타낼 수 있어. 간단한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.
2️⃣ 개념 더 알아보기
- 예를 들어, 를 분수로 나타내보자.
- 먼저, 분모는 순환마디의 숫자의 개수만큼 를 우선 쓰고 그 뒤에 소수점 아래에서 순환마디에 포함되지 않는 숫자의 개수만큼 을 적어줘.
- 는 순환마디가 고 순환마디에 포함되지 않는 숫자는 없으니깐 분모는 가 되는거야.
- 분자는 (전체의 수)에서 (순환하지 않는 부분)을 빼면 돼. 여기서 (전체의 수)는 소수점을 제외한 수라고 생각하면 돼.
- 에서 (전체의 수)는 이니깐 이고 순환하지 않는 부분은 없으니깐 분자는 가 되는거지.
- 따라서 가 되는거야.
3️⃣ 예제 살펴보기
다양한 예시를 보며 익혀보자.
순환소수 | 분모 | 분자 | 분수 |
---|---|---|---|
순환소수에서 순환하지 않는 부분이 길어질수록 분모는 어떻게 변할까?
왜 분모에 9와 0을 사용하는 것이 순환소수를 정확히 표현하는 방법일까?
실생활에서 반복되는 소수 부분을 분수로 바꾸는 일이 어떤 상황에서 유용할까?
이어서 질문하기
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'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(2)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순환소수에서 순환하지 않는 부분이 길어질수록 분모는 어떻게 변할까?
왜 분모에 9와 0을 사용하는 것이 순환소수를 정확히 표현하는 방법일까?
실생활에서 반복되는 소수 부분을 분수로 바꾸는 일이 어떤 상황에서 유용할까?
[EBS 수학의 답] 순환소수의 분수 표현 - 순환소수를 분수로 빠르게 나타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