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(2)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핵심 개념

  • 순환소수는 1010의 거듭제곱을 이용하여 분수로 나타낼 수도 있지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쉽게 분수로 나타낼 수 있어. 간단한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.

2️⃣ 개념 더 알아보기

  • 예를 들어, 0.3˙5˙0.\dot{3}\dot{5}를 분수로 나타내보자.
  • 먼저, 분모는 순환마디의 숫자의 개수만큼 99를 우선 쓰고 그 뒤에 소수점 아래에서 순환마디에 포함되지 않는 숫자의 개수만큼 00을 적어줘.
  • 0.3˙5˙0.\dot{3}\dot{5}는 순환마디가 3535고 순환마디에 포함되지 않는 숫자는 없으니깐 분모는 9999가 되는거야.
  • 분자(전체의 수)에서 (순환하지 않는 부분)을 빼면 돼. 여기서 (전체의 수)는 소수점을 제외한 수라고 생각하면 돼.
  • 0.3˙5˙0.\dot{3}\dot{5}에서 (전체의 수)035035이니깐 3535이고 순환하지 않는 부분은 없으니깐 분자는 3535가 되는거지.
  • 따라서 0.3˙5˙=35990.\dot{3}\dot{5} = \dfrac{35}{99}가 되는거야.

3️⃣ 예제 살펴보기

다양한 예시를 보며 익혀보자.

순환소수 분모 분자 분수
0.57˙0.5\dot{7} 9090 575=5257 - 5 = 52 5290=2645\dfrac{52}{90} = \dfrac{26}{45}
1.2˙8˙1.\dot{2}\dot{8} 9999 1281=127128 - 1 = 127 12799\dfrac{127}{99}
0.48˙9˙0.4\dot{8}\dot{9} 990990 4894=485489 - 4 = 485 485990=97198\dfrac{485}{990} = \dfrac{97}{198}
2.1˙2.\dot{1} 99 212=1921 - 2 = 19 199\dfrac{19}{9}
2.7˙64˙2.\dot{7}6\dot{4} 999999 27642=27622764 - 2 = 2762 2762999\dfrac{2762}{999}

순환소수에서 순환하지 않는 부분이 길어질수록 분모는 어떻게 변할까?
왜 분모에 9와 0을 사용하는 것이 순환소수를 정확히 표현하는 방법일까?
실생활에서 반복되는 소수 부분을 분수로 바꾸는 일이 어떤 상황에서 유용할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(2)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순환소수에서 순환하지 않는 부분이 길어질수록 분모는 어떻게 변할까?

  • 왜 분모에 9와 0을 사용하는 것이 순환소수를 정확히 표현하는 방법일까?

  • 실생활에서 반복되는 소수 부분을 분수로 바꾸는 일이 어떤 상황에서 유용할까?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순환소수의 분수 표현 - 순환소수를 분수로 빠르게 나타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