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(1)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핵심 개념

  • 정수가 아닌 유리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내었을 때, 분모가 22, 55이외의 소인수를 가지면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제 반대로 순환소수를 다시 분수로 나타낼 거야.

  • 22가지 방법이 있는데 먼저 1010의 거듭제곱을 이용하여 순환소수를 분수 나타내는 방법을 배울 거야.


2️⃣ 개념 더 알아보기

  • 0.3˙5˙0.\dot{3}\dot{5}1010의 거듭제곱을 이용하여 분수로 나타내보자.

  • 먼저, 순환소수를 xx라고 놓는거야. 즉, x=0.3˙5˙x = 0.\dot{3}\dot{5}인거지.

  • 그 다음, 등식의 양변에 1010의 거듭제곱을 곱하여 소수점 아래의 부분이 같은 두 식을 만들어야해.

  • 첫 번째 식은 순환소수를 간단히 표현했을 때 나타나는 소수점 자릿수를 지수로 하는 1010의 거듭제곱을 양변에 곱하면 돼. 지금 0.3˙5˙0.\dot{3}\dot{5}에서 총 22째 자리까지 있으니깐 양변에 10210^2을 곱해주면 첫 번째 식은

100x=35.35353535...100x = 35.35353535...

  • 두 번째 식은 순환소수에서 순환이 시작하는 자리에서 11을 뺀 수를 지수로 하는 1010의 거듭제곱을 곱해줘. 지금 0.3˙5˙0.\dot{3}\dot{5}에서 소수 첫 번째 자리에서 바로 순환하니깐 10(11)=110^{(1 - 1)} = 1을 양변에 곱해. 즉, 두 번째 식은
    x=0.35353535...x = 0.35353535...

  • 마지막으로 두 식을 빼서 xx 값을 구하면 돼.

순환소수 분수로 나타내기(1).png

따라서 0.3˙5˙=35990.\dot{3}\dot{5} = \dfrac{35}{99}


3️⃣ 예제 살펴보기

  • 이번엔 1.32˙5˙1.3\dot{2}\dot{5}를 분수로 바꿔보자.

  • 먼저 주어진 소수를 xx라 둬. 즉, x=1.32˙5˙x = 1.3\dot{2}\dot{5}

  • 그 다음 1.32˙5˙1.3\dot{2}\dot{5}에서 소수점이 33째 자리까지 있으니깐 x=1.32˙5˙x = 1.3\dot{2}\dot{5}의 양변에 10310^3을 곱해주면 첫 번째 식은
    1000x=1325.25252525...1000x = 1325.25252525...

  • 그 다음 1.32˙5˙1.3\dot{2}\dot{5}에서 소수 두 번째 자리부터 순환하니깐 10(21)=1010^{(2 - 1)} = 10을 양변에 곱해주면 두 번째 식은
    10x=13.25252525...10x = 13.25252525...

  • 이제 두 식을 빼서 xx를 구해주면 아래와 같아.

순환소수 분수로 나타내기(1) 예시.png

따라서 1.32˙5˙=6564951.3\dot{2}\dot{5} = \dfrac{656}{495}


순환소수를 분수로 바꿀 때 10의 거듭제곱을 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?
일상에서 순환소수를 분수로 바꾸는 것이 왜 중요할까?
순환소수에서 반복 부분의 길이가 달라지면 계산 방법도 달라질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(1)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순환소수를 분수로 바꿀 때 10의 거듭제곱을 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?

  • 일상에서 순환소수를 분수로 바꾸는 것이 왜 중요할까?

  • 순환소수에서 반복 부분의 길이가 달라지면 계산 방법도 달라질까?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순환소수의 분수 표현 -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