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핵심 개념

  • 정수가 아닌 유리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낸 후 분모를 소인수분해 했을 때, 분모가 22 또는 55이외의 소인수를 가지는 유리수는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어.
  • 즉, 기약분수로 나타냈을 때, 분모가 22 또는 55만 소인수로 가진다면 유한소수, 22 또는 55 이외의 소인수를 가진다면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어.

2️⃣ 예제 살펴보기

아래의 표를 살펴보며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 원리를 알고가자.

정수가 아닌 유리수 분모 소인수분해 분모의 소인수 순환소수, 유한소수
1218=23\dfrac{12}{18} = \dfrac{2}{3} 2×32 \times 3 33 순환소수
3550=710\dfrac{35}{50} = \dfrac{7}{10} 2×52 \times 5 2,52, 5 유한소수
1644=411\dfrac{16}{44} = \dfrac{4}{11} 1111 1111 순환소수
2140\dfrac{21}{40} 23×52^3 \times 5 2,52, 5 유한소수
75162=2554\dfrac{75}{162} = \dfrac{25}{54} 2×322 \times 3^2 2,32, 3 순환소수

17\dfrac{1}{7}의 소수 표현에서 반복되는 숫자는 왜 항상 같은 순서로 나타날까?
우리 주변에서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?
분모가 2와 5가 아닌 소인수를 가지면 소수가 반복되는데, 이것이 실생활에서 어떤 의미가 있을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17\dfrac{1}{7}의 소수 표현에서 반복되는 숫자는 왜 항상 같은 순서로 나타날까?

  • 우리 주변에서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?

  • 분모가 2와 5가 아닌 소인수를 가지면 소수가 반복되는데, 이것이 실생활에서 어떤 의미가 있을까?

  • favicon중학교 2학년 수학_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순환소수의 분수 표현 - 어떤 분수가 순환소수가 되기 위한 조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