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'의 개념을 설명해줘

1️⃣ 핵심 개념

  • 분수의 분모와 분자에 적당한 수를 곱하여 분모를 1010의 거듭제곱의 꼴로 나타낼 수 있으면 분수를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어.
  • 정수가 아닌 유리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낸 후 분모를 소인수분해 했을 때, 분모의 소인수가 22 또는 55뿐인 유리수라면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어.

2️⃣ 개념 더 알아보기

  • 핵심 개념의 말을 다르게 살펴보면 기약분수의 분모를 소인수분해 했을 때, 소인수가 22 또는 55외의 다른 소인수가 있다면 분모를 1010의 거듭제곱 꼴로 고칠 수 없으므로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없지.

  • ⚠️ 1435=145×7\dfrac{14}{35} = \dfrac{14}{5 \times 7}과 같은 분모가 22 또는 55이외의 소인수가 있지만 분자와 약분하면 25=0.4\dfrac{2}{5} = 0.4로 유한소수가 돼. 그래서 항상 기약분수로 나타낸 후 분모의 소인수를 살펴봐야해.


3️⃣ 예제 살펴보기

아래의 표를 살펴보며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 원리를 알고가자.

정수가 아닌 유리수 분모 소인수분해 분모의 소인수 유한소수, 순환소수
34\dfrac{3}{4} 222^2 2 유한소수
342=114\dfrac{3}{42} = \dfrac{1}{14} 2×72 \times 7 2,72, 7 순환소수
2772=38\dfrac{27}{72} = \dfrac{3}{8} 232^3 22 유한소수
2110=155\dfrac{2}{110} = \dfrac{1}{55} 5×115 \times 11 5,115, 11 순환소수
1575=15\dfrac{15}{75} = \dfrac{1}{5} 55 55 유한소수

분모가 2와 5만 있을 때만 유한소수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?
실생활에서 돈을 나눌 때 유한소수가 왜 더 편리할까?
분모가 50인 분수를 유한소수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

이어서 질문하기

  • 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
  • '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
  • 분모가 2와 5만 있을 때만 유한소수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?

  • 실생활에서 돈을 나눌 때 유한소수가 왜 더 편리할까?

  • 분모가 50인 분수를 유한소수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

  • favicon[EBS 수학의 답] 유리수의 소수 표현 -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 찾아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