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
'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'의 개념을 설명해줘
1️⃣ 핵심 개념
- 분수의 분모와 분자에 적당한 수를 곱하여 분모를 의 거듭제곱의 꼴로 나타낼 수 있으면 분수를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어.
- 정수가 아닌 유리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낸 후 분모를 소인수분해 했을 때, 분모의 소인수가 또는 뿐인 유리수라면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어.
2️⃣ 개념 더 알아보기
핵심 개념의 말을 다르게 살펴보면 기약분수의 분모를 소인수분해 했을 때, 소인수가 또는 외의 다른 소인수가 있다면 분모를 의 거듭제곱 꼴로 고칠 수 없으므로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없지.
⚠️ 과 같은 분모가 또는 이외의 소인수가 있지만 분자와 약분하면 로 유한소수가 돼. 그래서 항상 기약분수로 나타낸 후 분모의 소인수를 살펴봐야해.
3️⃣ 예제 살펴보기
아래의 표를 살펴보며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 원리를 알고가자.
정수가 아닌 유리수 | 분모 소인수분해 | 분모의 소인수 | 유한소수, 순환소수 |
---|---|---|---|
2 | 유한소수 | ||
순환소수 | |||
유한소수 | |||
순환소수 | |||
유한소수 |
분모가 2와 5만 있을 때만 유한소수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?
실생활에서 돈을 나눌 때 유한소수가 왜 더 편리할까?
분모가 50인 분수를 유한소수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
이어서 질문하기
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'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분모가 2와 5만 있을 때만 유한소수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?
실생활에서 돈을 나눌 때 유한소수가 왜 더 편리할까?
분모가 50인 분수를 유한소수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?
[EBS 수학의 답] 유리수의 소수 표현 -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 찾아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