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
'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'의 개념을 설명해줘
1️⃣ 사전 지식
유한소수와 순환소수:
- 유한소수는 소수점 아래에 이 아닌 숫자가 유한 개인 소수야. 예를 들어, 등이 있어.
- 순환소수는 소수점 아래에 이 아닌 숫자가 무한 번 반복되는 소수야. 예를 들어, 등이 있어.
2️⃣ 핵심 개념
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
- 유리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냈을 때, 분모의 소인수가 또는 뿐이면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어.
- 여기서 소인수란, 어떤 수를 나누는 소수 등을 말해.
- 예를 들어, 은 분모인 를 소인수분해 하면 이므로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어.
- 즉, 기약분수의 분모가 꼴이면 유한소수가 돼. 분모를 의 거듭제곱으로 바꿀 수 있으면, 유한소수인거야.
분모를 10의 거듭제곱으로 바꾸는 과정
- 예를 들어, 를 보자.
- 분모 의 소인수는 뿐이야.
- 은 니까, 를 의 거듭제곱으로 만들려면 를 곱해야 해.
3️⃣ 예제 및 적용
4️⃣ 개념 정리
-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는 기약분수의 분모의 소인수가 와 만 있을 때 가능해!
- 분모를 과 같은 의 거듭제곱 꼴로 바꾸기 위해 적절한 수를 곱하는 과정을 기억하자.
궁금한 거 있으면 언제든 물어봐~ 😊
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?
왜 어떤 분수는 유한소수로, 어떤 분수는 순환소수로 나타날까?
실생활에서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를 어디에 많이 사용할까?
이어서 질문하기
'개념(익히기)' 풀기 Enter
'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'의 특성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줘
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?
왜 어떤 분수는 유한소수로, 어떤 분수는 순환소수로 나타날까?
실생활에서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를 어디에 많이 사용할까?
[EBS 수학의 답] 유리수의 소수 표현 -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 찾아내기